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대한민국의학 한림원

GNB 보기

발간도서

현재 페이지 경로
  1. HOME
  2. 발간도서

현재에서 바라본 10년 전, 황우석 사건

  • 분류번호NAMOK-P17
  • 발간일2015-10-22
  • 도서명방사선과 건강 -의료방사선을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한 원칙과 실제적인 가이드라인
  • 발행처대한민국의학한림원

상세보기

서문

방사선은 독일의 물리학자 빌헬름 뢴트겐에 의하여 발견되었고, 1895년 12월 28일 ‘새로운 종류의 광선에 대하여(On a new kind of rays)’란 논문을 통하여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최초의 의학적 이용은 등뒤에 칼을 맞고 사지마비가 발생한 환자에서 방사선촬영으로 마비의 원인이 되는 칼조각을 찾아내어 수술한 예로서 Lancet지에 1896년 1월에 실렸다.
사실 지구를 포함한 우주에는 태초부터 천연방사성원소에서 발생하는 방사선이 존재하고 있다. 방사능이란 방사성 물질이 방출하는 방사선의 세기로서 단위로 사용되는 큐리(curie)는 마리 큐리(Marie Curie)의 성에서 유래하였다. 마리 큐리는 방사선 원소인 라듐과 폴로늄을 발견한 공으로 서로 다른 분야인 물리와 화학에서 두 차례의 노벨상을 수상하였다. 그러나 평생 동안 방사성 원소를 대상으로 연구하면서 노출된 방사선에 의하여 시력을 잃었고 마침내 백혈병으로 세상을 하직하였다.
방사선 피폭으로 인한 인체의 영향은 일본의 원폭생존자 코호트 자료를 주요 근거로 한다. 급성 장애로 사망에 이를 수도 있으나, DNA 손상으로 인한 암 발생 및 유전적 장애가 대표적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생물학적 손상은 주로 고선량 영역의 방사선에 일시에 노출되었을 때 관찰되는 현상이며, 진단영역의 영상검사나 방사능 환경오염 등에서 문제가 되는 100밀리시버트(mSv)이하의 저선량에 의한 인체 영향은 통계적 불확실성과 함께 아직 과학적으로 증명되지 않은 상태이다.
최근 영상진단기기의 이용의 가장 괄목할 만한 변화는 CT의 기기적 성능 개선과 가파른 보급의 증가 현상이다. CT는 일반 촬영에 비하여 훨씬 높은 방사선 조사량을 초래하기 때문에 인구의 집단선량을 증가시키는 주 요인으로 주목 받고 있다. 2007년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에서 보고(1)된 바에 의하면 미국에서 연간 6,200만건의 CT검사로 1980년에 비교하여 20배 이상의 증가를 보이고 있다. 또한 1991년부터 5년간 발생한 암의 0.4%는 CT촬영에 의한 방사선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2). 또한 2013년 OECD 건강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CT 보급률은 평균의 1.5배 이상이며 높은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자료에서 CT 검사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여 2009년에 450만건이 청구되었다. 이러한 의료영상의 이용이 증가하면서 국민 일인당 연간 피폭선량은 1980년 3.6mSv에서 25년 사이 두 배 가까이 증가하였다.
방사선은 적절하게 이용하면 과학의 발전과 인류의 건강에 도움이 되는 문명의 이기지만 잘못 사용하면 인체에 손상을 초래할 수 있어 흔히 ‘양날의 칼’에 비유된다. 국제사회에서는 세계보건기구(WHO), 국제원자력기구(IAEA), 국제방사선방호위원회(ICRP) 등 국제기구를 중심으로 의료상 환자가 받는 방사선을 최적화하고 불필요한 방사선 피폭을 줄이고자 환자선량권고량(diagnostic reference level)을 각 국가가 자국 실정에 맞게 설정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그러나 임상적 목적에 부합하는 수준이라면 의료피폭은 정당하기 때문에 엄격한 개인선량한도의 적용을 권장하지는 않고 있다.
“과연 우리는 방사선을 올바르게 이용하고 있는가?”
대한민국의학한림원은 “방사선과 건강”이라는 주제로 2014년 9월 18일 학술포럼을 개최하였다. 포럼에서는 저선량 방사선의 생물학적 영향에 대한 기전을 고찰하고, 의료방사선을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한 원칙과 실제적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으며, 체계적인 방사선 방호를 위한 국가적 관리체계와 헬스커뮤니케이션의 역할에 대한 활발한 토론이 이루어졌다. 포럼을 통하여 방사선의 안전한 사용에 대한 각계 전문가들의 의견이 모아졌으며, 올바른 정보의 부재와 근거 없는 소문으로 인하여 불거진 많은 오해들이 풀리는 좋은 계기가 되었다.
대한민국한림원에서는 방사선에 관한 올바른 인식이 의료인뿐 아니라 전 국민에게 전달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포럼에 참여한 연자를 중심으로 백서를 준비하게 되었다. 참여해 주신 집필진께 깊은 감사를 드리며, 학술포럼과 백서의 발간을 통하여 문명의 이기인 방사선을 보다 잘 이해하고 활용하는데 좋은 계기가 되길 바란다.
     2015년 3월 9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김동익

 

목 차
서문 ………………………………………………………………………… 5
Part 1. 방사선의 생물학적 영향에 대한 고찰
서론 ………………………………………………………………………… 15
방사선의 생물학적 작용 기전 ……………………………………………… 17
방사선 인체 영향에 대한 다양한 분류 …………………………………… 19
1. 방사선의 신체적 영향과 유전적 영향 ……………………………… 19
2. 방사선 급성 영향과 만성 영향 ……………………………………… 21
3. 방사선의 결정론적 영향과 확률론적 영향 ………………………… 23
방사선 인체 영향에 대한 다양한 연구 …………………………………… 37
1. 안전성 평가를 위한 선량 반응 모델 ………………………………… 39
2. 저선량방사선 위험의 불확실성 …………………………………… 41
결론 ………………………………………………………………………… 51
Part 2. 역학 연구를 통한 방사선의 인체 영향
서론 ………………………………………………………………………… 59
방사선 이용과 노출 ………………………………………………………… 61
1. 방사선 피폭원 ……………………………………………………… 62
2. 국내 노출 수준 ……………………………………………………… 65
방사선 인체 영향과 위험도(확률론적 영향을 중심으로) ………………… 73
1. 암 및 유전 결함 위험도 ……………………………………………… 74
2. 저선량방사선 위험도 추정의 불확실성 …………………………… 77
주요 역학 연구 결과 ……………………………………………………… 80
1. 원폭 생존자 연구(저선량 영역에서의 결과) ……………………… 80
2. 체르노빌 지역 주민 ………………………………………………… 80
3. 후쿠시마 지역 주민 ………………………………………………… 81
4. 주요 국가별 방사선 작업종사자 …………………………………… 82
5. 항공승무원 ………………………………………………………… 94
6. 환경방사선(인공 및 고준위 자연방사능 지역) …………………… 95
7. 핵무기 실험에 의한 낙진 …………………………………………… 98
8. 의료방사선 ………………………………………………………… 98
국내 갑상선암 증가와 방사선 노출과의 관련성 ……………………… 101
결론 ……………………………………………………………………… 103
Part 3. 방사선방호의 역사와 관련 기구
방사선방호의 역사 ……………………………………………………… 115
방사선방호 관련 국제기구 ……………………………………………… 116
1. ICRP ……………………………………………………………… 117
2. UNSCEAR ……………………………………………………… 118
3. IAEA ……………………………………………………………… 119
우리나라의 방사선방호 체계 …………………………………………… 120
1. 관련부처와 법규 ………………………………………………… 120
2. 원자력법 관련 기구 ……………………………………………… 122
3. 그 외 정부기관 …………………………………………………… 126
4. 방사선 비상진료체계 …………………………………………… 127
Part 4. 의료방사선 관리의 원칙
서론 ……………………………………………………………………… 131
의료방사선 사용의 현재 ………………………………………………… 132
의료영역에서 방사선 방어의 원칙 ……………………………………… 136
1. 일반적 방사선 방어의 기본 원칙 ………………………………… 136
2. 의료방사선 방어의 원칙 ………………………………………… 141
의료방사선 관리 현황 …………………………………………………… 149
1. 우리나라의 방사선 안전관리 현황 ……………………………… 150
2. 각국의 방사선 안전관리 현황 …………………………………… 154
바람직한 방사선선량 관리 체계 ………………………………………… 158
Part 5. 의료방사선 관리의 실제
서론 ……………………………………………………………………… 167
기기에 따른 방사선량 표시방법과 실태 ………………………………… 170
1. 방사선 관련 단위 ………………………………………………… 171
2. 각 기기의 방사선 표시 방법 ……………………………………… 175
3. 우리나라의 방사선량 표시 실태 ………………………………… 181
각 의료기관에서 환자 선량 저감화 방법 ……………………………… 182
1. 의료기관 의료진 교육 …………………………………………… 182
2. 환자에게 정보제공과 사전동의 ………………………………… 184
3. 전문가와 환자를 위한 정보 사이트들 …………………………… 190
4. 환자 선량 관리 프로그램 ………………………………………… 191
5. 소아피폭관리 …………………………………………………… 196
의료영상의 품질관리 …………………………………………………… 200
1. 영상의학기기 품질관리의 중요성 ……………………………… 200
2. 외국의 품질관리 ………………………………………………… 202
3. 우리나라 영상의학장비의 품질관리제도 ……………………… 206
4. 특수의료장비의 품질관리 결과 ………………………………… 208
결론 ……………………………………………………………………… 213
Part 6. 헬스커뮤니케이션 차원에서 보는 방사선 문제와 해결
요약 ……………………………………………………………………… 221
서론 ……………………………………………………………………… 222
방사선 관련 헬스커뮤니케이션 기존 문헌과 논의 ……………………… 225
우리나라 방사선 관련 인식과 커뮤니케이션 상황에 대한 논의 ……… 229
1. 방사선 위험 인식 연구 …………………………………………… 229
2. 방사선 메시지 프레임과 미디어 보도 프레임 연구 ……………… 232
3.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전략 관련 연구 ………………………… 235
우리나라 사회 문화 맥락 차원의 고려 ………………………………… 237
결론 및 방사선 관련 헬스위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제언 …………… 240
찾아보기 ………………………………………………………………… 251

 

  • 유튜브
  • 페이스북
  • 네이버 블로그
  • 네이버 포스트
  • 보건복지부
  • 현명한 선택
  • 코로나19 백신안정성 연구센터
대한민국의학한림원
  • (06654)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중앙로 51 신성미소시티 206호
  • TEL : 02-795-4030
  • FAX : 0502-795-4030
  • E-Mail : namok@kams.or.kr

  • 대표자:왕규창
  • 사업자등록번호:106-82-61301

Copyright(c) 대한민국의학한림원. All rights reserved.